조선시대 사료와 법전 교육기관

은대학당

『승정원일기』 『경국대전』 등을 연구하고 번역해 온 전문가들이
온라인으로 강의를 진행합니다

변원정배(邊遠定配)

죄인을 먼 변경 지역에 정배하는 처벌을 가리켰다.변원정배는 『광해군일기』부터 보이기 시작한다.『승정원일기』에서는 총 917건의 ‘변원정배’가 검색된다. 『승정원일기』에서 죄인들이 변원정배된 지역을 찾아보면, 평안도의 ...
자세히 보기

병예(屛裔)

죄인을 먼 변방 지역으로 축출하는 것이다. 조선전기의 실록에도 ‘죄인을 사방의 변방으로 쫓아낸다.[屛諸四裔]’라고 하여 병예를 처벌의 의미로 사용한 사례가 보인다. 그러나 ...
자세히 보기

원찬(遠竄)

죄인을 먼 지역에 찬배(竄配)하는 것을 가리킨다. 찬배는 정배와 같은 의미이기는 하나, 도배보다는 주로 유배에 많이 사용되었다는 점이 달랐다. 『고려사』와 『고려사절요』에는 ...
자세히 보기

공명첩(空名帖)

사료와 법전에 보이는 공명첩은 두 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다. 하나는 이름을 적지 않고 빈 칸으로 남긴 채 작성된 교지(敎旨)나 ...
자세히 보기

투비(投畀)

투비는 『시경(詩經)』 「소아(小雅)」 <항백(巷伯)>에서 ‘남 헐뜯는 저 인간, 맹수에게 던져주리. 맹수조차 안 먹으면, 불모지에 던져두리.[取彼譖人, 投畀豺虎。 豺虎不食, 投畀有北。]’라고 한 내용에서 ...
자세히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