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시대 사료와 법전 교육기관

은대학당

『승정원일기』 『경국대전』 등을 연구하고 번역해 온 전문가들이
온라인으로 강의를 진행합니다

병친정사(病親呈辭)

관원과 종친 등이 병을 앓는 어버이를 문안하고 간호하기 위해 말미를 청할 때 올리던 정사로, 친병정사(親病呈辭)라고도 하였다. 『경국대전』에는 병친정사에 따른 휴가 ...
자세히 보기

정사(呈辭)

관원이나 종친 등이 휴가를 청하는 내용이나 사직하겠다는 내용으로 문서를 올리는 것 또한 그러한 내용의 문서를 가리킨다. 관원이나 종친 등이 휴가를 ...
자세히 보기

시재(試才)

시재의 의미는 두 가지로 나누어볼 수 있다. 하나는 ‘재예(才藝), 기예(技藝), 재능(才能) 등을 시험하다.’라는 의미이다. 이러한 의미의 시재는 사료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
자세히 보기

중일(中日)

중일은 두 가지의 의미가 있었다. 하나는 12지지(地支)를 3개씩 묶고 그중 중간에 해당하는 날을 가리키는 의미이다. 즉 12지지 중 인(寅)·신(申)·사(巳·해(亥)가 들어가는 ...
자세히 보기

별효기사(別驍騎士)

수원(水原)과 파주(坡州)의 마병으로 조직된 기마부대로, 별효사(別驍士)라고도 하였다. 수원의 별효기사는 영조 31년(1755)에, 파주의 별효기사는 영조 41년(1765)에 각각 조직되었다. 이들 별효기사를 대상으로는 ...
자세히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