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바로가기
연구소
은대학당
동문회
은대사랑
로그인
은대학당
메뉴
소개
인사말
연혁
교수진
수강생 통계
입학 안내
교육 과정
사료연구 과정
고문헌연구 과정
법전연구 과정
신청 및 문의
입학 지원서
휴학 신청
각종 증명서 신청
학기별 수강 신청
1:1 문의
링크
조선시대 사료와 법전 교육기관
은대학당
『승정원일기』 『경국대전』 등을 연구하고 번역해 온 전문가들이
온라인으로 강의를 진행합니다
교수진
치제(致祭)
2023-11-06
임금이 죽은 신하를 위해 관원을 보내 제사를 지내게 하는 것 또는 그 제사를 가리킨다. 『경국대전』 「예전」 〈상장(喪葬)〉과 『전율통보』 「예전」 〈상장〉에 ...
자세히 보기
기발(騎撥)
2023-11-06
말을 타고서 문서를 전달하던 발참(撥站) 또는 발군(撥軍)을 가리킨다. 발참은 문서를 신속히 전달하기 위해서 각 도(道)에 일정한 거리마다 설치했던 기관을 가리킨다. ...
자세히 보기
치조(致弔)
2023-11-06
종친(宗親)이나 2품 이상 관원 등이 상을 당했을 경우에 임금이 신하를 보내 조의(弔意)를 표하는 것이다. 『경국대전』 「예전」 〈상장(喪葬)〉과 『전율통보』 「예전」 〈상장〉에 ...
자세히 보기
치부(致賻)
2023-11-06
종친(宗親)이나 2품 이상 관원 등이 사망하였을 때 임금이 물품을 보내 제수(祭需)에 보태도록 하던 것을 가리킨다. 『경국대전주해후집(經國大典註解後集)』에서는 치부를 ‘치(致)는 「보내다.」라는 의미이고 ...
자세히 보기
괄운지례(适雲之例)
2023-11-06
역적 이괄(李适)과 신치운(申致雲)에게 연좌(緣坐)의 형률을 적용했던 전례를 가리킨다. 괄(适)은 이괄을, 운(雲)은 신치운을 가리키는데, 역적을 부를 때 이름 중 한 글자만을 ...
자세히 보기
Previous
1
2
3
4
5
…
16
Next
검색
검색
최근 게시글
신임 학당장 취임에 대한 공지
이강욱 학당장님 사임에 부쳐
임시 교무위원회 개최
2025학년도 3학기 등록, 수강신청, 휴 복학신청 안내
(사)은대고전문헌연구소 고전번역위원 등록신청 안내
분류
공지사항
(66)
자료실
(94)
강의자료
(2)
논문
(14)
어휘
(76)
원문
(1)
은대학당 운영규정
(1)
행사
(13)
Search f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