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시대 사료와 법전 교육기관

은대학당

『승정원일기』 『경국대전』 등을 연구하고 번역해 온 전문가들이
온라인으로 강의를 진행합니다

정사(呈辭)

관원이나 종친 등이 휴가를 청하는 내용이나 사직하겠다는 내용으로 문서를 올리는 것 또한 그러한 내용의 문서를 가리킨다. 관원이나 종친 등이 휴가를 ...
자세히 보기

시재(試才)

시재의 의미는 두 가지로 나누어볼 수 있다. 하나는 ‘재예(才藝), 기예(技藝), 재능(才能) 등을 시험하다.’라는 의미이다. 이러한 의미의 시재는 사료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
자세히 보기

중일(中日)

중일은 두 가지의 의미가 있었다. 하나는 12지지(地支)를 3개씩 묶고 그중 중간에 해당하는 날을 가리키는 의미이다. 즉 12지지 중 인(寅)·신(申)·사(巳·해(亥)가 들어가는 ...
자세히 보기

별효기사(別驍騎士)

수원(水原)과 파주(坡州)의 마병으로 조직된 기마부대로, 별효사(別驍士)라고도 하였다. 수원의 별효기사는 영조 31년(1755)에, 파주의 별효기사는 영조 41년(1765)에 각각 조직되었다. 이들 별효기사를 대상으로는 ...
자세히 보기

무려(武旅)

강화(江華)의 무학(武學) 중에서 별도로 선발하여 조직한 부대로, 무려군관(武旅軍官)이라고도 하였다. 강화에는 원군(原軍)으로 무학과 속오(束伍)가 있었고 군관(軍官)으로 장려(壯旅)와 의려(義旅)가 있었는데, 무학과 속오가 ...
자세히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