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시대 사료와 법전 교육기관

은대학당

『승정원일기』 『경국대전』 등을 연구하고 번역해 온 전문가들이
온라인으로 강의를 진행합니다

신병정사(身病呈辭)

관원과 종친 등이 신병을 치료하거나 요양하기 위해 말미를 청할 때 올리던 정사(呈辭)이다. 신병정사는 원칙적으로 당상관 이상 및 현임 삼사(三司)의 관원만 ...
자세히 보기

중순(中旬)

오군영(五軍營)의 장신(將臣)이 각각 소속 중군(中軍) 이하 장관(將官), 장교(將校), 군병(軍兵)을 대상으로 시행하던 과시이다. 중순이라는 이름은 척계광(戚繼光)이 한 달에 6차례 군사 훈련을 ...
자세히 보기

외중일(外中日)

금위영(禁衛營)과 어영청(御營廳)의 중군(中軍)이 각각 기대장(旗隊長)과 포수(砲手)를 대상으로 궐 밖에서 시행하던 과시를 가리킨다. 『만기요람(萬機要覽)』에 의하면 금위영의 외중일은 남별영(南別營)에서 시행하였고, 어영청의 외중일은 ...
자세히 보기

내중일(內中日)

창덕궁(昌德宮)의 중일각(中日閣)에서 시행하던 중일(中日)을 가리킨다. 중일각은 중일청(中日廳)이라고도 하였으며, 동궐도(東闕圖)에 의하면 창덕궁의 요금문(曜金門)과 명례문(明禮門) 사이에 있었다. 내중일은 도총부(都摠府)의 입직(入直)하는 당상관·낭청과 병조의 ...
자세히 보기

병친정사(病親呈辭)

관원과 종친 등이 병을 앓는 어버이를 문안하고 간호하기 위해 말미를 청할 때 올리던 정사로, 친병정사(親病呈辭)라고도 하였다. 『경국대전』에는 병친정사에 따른 휴가 ...
자세히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