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바로가기
연구소
은대학당
동문회
은대사랑
로그인
은대학당
메뉴
소개
인사말
연혁
교수진
수강생 통계
입학 안내
교육 과정
사료연구 과정
고문헌연구 과정
법전연구 과정
신청 및 문의
입학 지원서
휴학 신청
각종 증명서 신청
학기별 수강 신청
1:1 문의
링크
조선시대 사료와 법전 교육기관
은대학당
『승정원일기』 『경국대전』 등을 연구하고 번역해 온 전문가들이
온라인으로 강의를 진행합니다
교수진
정조시(停朝市)
2023-11-06
일정 기간 조정과 시장의 업무를 정지하는 것을 가리킨다. 『경국대전』 「예전」 〈상장(喪葬)〉과 『전율통보』 「예전」 〈상장〉에는 정조시를 ‘철조(輟朝)’라고 표현하고, 정조시하는 일수를 대상에 ...
자세히 보기
괄운지례(适雲之例)
2023-11-06
역적 이괄(李适)과 신치운(申致雲)에게 연좌(緣坐)의 형률을 적용했던 전례를 가리킨다. 괄(适)은 이괄을, 운(雲)은 신치운을 가리키는데, 역적을 부를 때 이름 중 한 글자만을 ...
자세히 보기
경수방석(輕囚放釋)
2023-11-06
혹서기와 혹한기에 의금부와 전옥서에 갇혀 있는 죄수 중 범죄 혐의가 가벼운 죄수를 풀어주던 제도이다. 혹서기란 중복(中伏) 이후에서 말복(末伏)까지, 혹한기란 소한(小寒) ...
자세히 보기
심리(審理)
2023-11-06
임금의 특별 명령이 있을 때 형조가 전국 살인 사건의 문서를 살펴서 계속 조사할지 아니면 석방할지를 논의하여 보고하면 임금이 그에 대해 ...
자세히 보기
소결(疏決)
2023-11-06
임금의 특별 명령이 있을 때 신하들이 입시하여 정배(定配)된 죄인의 죄상을 논의하여 풀어주거나 처벌 수위를 낮추어주던 사법제도를 가리킨다. 소결은 원래 ‘사건을 ...
자세히 보기
Previous
1
…
7
8
9
10
11
…
32
Next
검색
검색
최근 게시글
2025년도 수료식 및 입학식
사무국장 선임 안내
2025학년도 1학기 수강 신청 및 수료식/입학식 안내
2025학년도 신입생 선발 결과/등록 안내
[조선시대 관복제도와 실제] 특강 안내
분류
공지사항
(55)
자료실
(93)
강의자료
(2)
논문
(13)
어휘
(76)
원문
(1)
은대학당 운영규정
(1)
행사
(13)
Search f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