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시대 사료와 법전 교육기관

은대학당

『승정원일기』 『경국대전』 등을 연구하고 번역해 온 전문가들이
온라인으로 강의를 진행합니다

녹시사(祿試射)

금군(禁軍)이나 무신(武臣)의 녹봉을 조정하기 위해 시행하던 과시를 가리킨다. 금군의 경우에는 해마다 봄과 가을 두 차례 도시(都試)를 시행하다가 현종 12년(1671)에 처음으로 ...
자세히 보기

성혼정사(成婚呈辭)

관원과 종친 등이 자식의 혼례를 위해 말미를 청할 때 올리던 정사로, 혼가정사(婚嫁呈辭)라고도 하였다. 자식의 혼례를 위해 관원에게 휴가를 주거나 휴가를 ...
자세히 보기

침구정사(針灸呈辭)

관원과 종친이 침을 맞거나 뜸을 뜨기 위해 말미를 청할 때 올리던 정사이다.관원이 휴가를 받아 침을 맞거나 뜸을 뜬 기록은 성종과 ...
자세히 보기

귀장정사(歸葬呈辭)

관원과 종친 등이 처나 처부모 등의 귀장(歸葬)을 위해 말미를 청할 때 올리던 정사(呈辭)이다. 귀장은 죽은 사람의 시신을 고향으로 옮겨 장례를 ...
자세히 보기

내시사(內試射)

내시부(內侍府) 또는 용호영(龍虎營)의 주관으로 봄과 가을에 내승(內乘), 별군직(別軍職), 선전관(宣傳官), 금군(禁軍) 등을 대상으로 궐 안에서 시행하던 과시이다. 『은대편고(銀臺便攷)』에는 내시사가 수록되어 있기는 ...
자세히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