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시대 사료와 법전 교육기관

은대학당

『승정원일기』 『경국대전』 등을 연구하고 번역해 온 전문가들이
온라인으로 강의를 진행합니다

작문(作門)

국왕이 전좌(殿座)하거나 동가(動駕)할 때 사람들의 출입을 금지하기 위해 사방 또는 삼면에 군병을 배치하여 에워싸고 그중 출입하는 곳에 군병을 늘어세워서 문의 ...
자세히 보기

당보(塘報)

사료와 법전에 보이는 당보는 대략 세 가지의 의미로 사용되었다. 첫째, 군사 정보나 비밀 정보 또는 그러한 정보를 적은 문서를 가리킨다. ...
자세히 보기

시책(試冊)

무시(武試)의 시관(試官)이 해당 시소(試所)에서 응시한 모든 응시자의 시험 성적을 적을 수 있도록 만든 책자이다. 시책에는 무시 응시자의 번호와 성명이 적혀 ...
자세히 보기

무경칠서(武經七書)

일곱 가지의 병서로, 손무(孫武)의 『손자(孫子)』, 오기(吳起)의 『오자(吳子)』, 사마양저(司馬穰苴)의 『사마법(司馬法)』, 울요(尉繚)의 『울요자(尉繚子)』, 황석공(黃石公)의 『황석공삼략(黃石公三略)』, 여망(呂望)의 『육도(六韜)』, 이정(李靖)의 『이위공문대(李衛公問對)』를 가리킨다. 송나라 원풍(元豐 ...
자세히 보기

신전(信箭)

살촉에는 ‘영(令)’자를 새기고 깃 아래에는 ‘신(信)’이라고 쓴 삼각형의 오색 비단 조각을 단 화살로, 임금의 명령으로 군병을 차출하거나 계엄을 해제할 때, ...
자세히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