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바로가기
연구소
은대학당
동문회
은대사랑
로그인
은대학당
메뉴
소개
인사말
연혁
교수진
수강생 통계
입학 안내
교육 과정
사료연구 과정
고문헌연구 과정
법전연구 과정
신청 및 문의
입학 지원서
휴학 신청
각종 증명서 신청
학기별 수강 신청
1:1 문의
링크
조선시대 사료와 법전 교육기관
은대학당
『승정원일기』 『경국대전』 등을 연구하고 번역해 온 전문가들이
온라인으로 강의를 진행합니다
교수진
춘당대시(春塘臺試)
2023-11-06
국왕의 특명이 있을 때 춘당대(春塘臺)에서 문과(文科)와 무과(武科)로 나누어 시행하던 대과(大科)의 일종을 가리킨다. 춘당대시가 법전에 보이는 것은 『속대전(續大典)』부터이나, 사료에 의하면 선조 ...
자세히 보기
소결(疏決)
2023-11-06
임금의 특별 명령이 있을 때 신하들이 입시하여 정배(定配)된 죄인의 죄상을 논의하여 풀어주거나 처벌 수위를 낮추어주던 사법제도를 가리킨다. 소결은 원래 ‘사건을 ...
자세히 보기
별시사(別試射)
2023-11-06
국왕이 도성 밖으로 행차하거나 나라에 경사가 있을 때 국왕의 명에 따라 어가(御駕)를 수행한 장관(將官)·장교(將校)·군병(軍兵) 등을 대상으로 시행하던 과시로, 별시재(別試才)라고도 하였다. ...
자세히 보기
대거시(對擧試)
2023-11-06
어떤 과시(科試)를 시행할 때 그 과시와 짝을 지어서 함께 시행하던 과시를 가리킨다. 10년마다 간지에 병(丙) 자가 들어가는 해에는 이미 급제(及第)한 ...
자세히 보기
용호방(龍虎榜)
2023-11-06
용방(龍榜)과 호방(虎榜)을 아울러 가리키는 말로, 용방은 문과방목(文科榜目)을, 호방은 무과방목(武科榜目)을 말한다. 용호방은 원래 당(唐)나라 육지(陸贄)가 시관(試官)으로서 한유(韓愈)와 이관(李觀) 등의 훌륭한 인재를 ...
자세히 보기
Previous
1
…
3
4
5
6
7
…
19
Next
검색
검색
최근 게시글
2025학년도 3학기 등록, 수강신청, 휴 복학신청 안내
(사)은대고전문헌연구소 고전번역위원 등록신청 안내
신임 연구교수 선임 안내
서평『조선후기 양반제도』
『조선후기 양반제도』서평
분류
공지사항
(63)
자료실
(94)
강의자료
(2)
논문
(14)
어휘
(76)
원문
(1)
은대학당 운영규정
(1)
행사
(13)
Search f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