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시대 사료와 법전 교육기관

은대학당

『승정원일기』 『경국대전』 등을 연구하고 번역해 온 전문가들이
온라인으로 강의를 진행합니다

별효기사(別驍騎士)

수원(水原)과 파주(坡州)의 마병으로 조직된 기마부대로, 별효사(別驍士)라고도 하였다. 수원의 별효기사는 영조 31년(1755)에, 파주의 별효기사는 영조 41년(1765)에 각각 조직되었다. 이들 별효기사를 대상으로는 ...
자세히 보기

무려(武旅)

강화(江華)의 무학(武學) 중에서 별도로 선발하여 조직한 부대로, 무려군관(武旅軍官)이라고도 하였다. 강화에는 원군(原軍)으로 무학과 속오(束伍)가 있었고 군관(軍官)으로 장려(壯旅)와 의려(義旅)가 있었는데, 무학과 속오가 ...
자세히 보기

별기위(別騎衛)

조선후기에 별기위는 두 가지가 있었다. 하나는 동래부(東萊府)의 고관(庫官)·별전군관(別典軍官)·별무사(別武士)·장관기패관(將官旗牌官) 및 각 진(鎭)의 장교(將校) 중에서 300명을 선발하여 조직한 기마부대이다. 『신보수교집록』 「병전」 〈장권(獎勸)〉에 ...
자세히 보기

장려(壯旅)

강화(江華)의 군관(軍官)으로 조직한 부대로, 장려군관(壯旅軍官)이라고도 하였다. 강화는 군사적으로 중요한 지역인데도 군역(軍役)을 면제받은 군관과 교생(校生)이 많았다. 그에 따라 그들 중 군관을 ...
자세히 보기

의려(義旅)

강화(江華)의 교생(校生)으로 조직한 부대로, 의려군관(義旅軍官)이라고도 하였다.강화는 군사적으로 중요한 지역인데도 군역을 면제받은 군관과 교생이 많았다.그에 따라 그들 중 교생을 모아 조직한 ...
자세히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