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시대 사료와 법전 교육기관

은대학당

『승정원일기』 『경국대전』 등을 연구하고 번역해 온 전문가들이
온라인으로 강의를 진행합니다

신전(信箭)

살촉에는 ‘영(令)’자를 새기고 깃 아래에는 ‘신(信)’이라고 쓴 삼각형의 오색 비단 조각을 단 화살로, 임금의 명령으로 군병을 차출하거나 계엄을 해제할 때, ...
자세히 보기

시수집고(矢數執鼓)

임금이 직접 참석하여 주관하는 시사(試射)를 시행할 때 각 기(技)별로 적중한 숫자나 부여할 점수를 알리기 위해 북을 울리던 절차를 가리킨다. 『육전조례(六典條例)』 ...
자세히 보기

시기(試記)

무시(武試) 시소(試所)의 도청(都廳)이 해당 시소에서 응시한 각 응시자의 시험 성적을 과목별로 기록한 문서이다.시기에는 응시자의 성명과 번호, 응시 순서, 과목별 성적 ...
자세히 보기

무신당하삭시사(武臣堂下朔試射)

6월과 12월을 제외한 매달 22일에 무신 당하관을 대상으로 시행하던 과시이다.시관은 병조판서가 맡았으나, 병조판서가 사정이 있으면 병조참판이 대신 맡고, 병조참판도 사정이 ...
자세히 보기

재추집고(宰樞執鼓)

임금이 직접 참석하여 주관하는 시사(試射)를 시작할 때 재신(宰臣)이 북을 울리던 절차를 가리킨다.『춘관통고(春官通考)』 「군례(軍禮)」 〈친림시사의(親臨試射儀)〉에 의거하여 재추집고의 절차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
자세히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