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바로가기
연구소
은대학당
동문회
은대사랑
로그인
은대학당
메뉴
소개
인사말
연혁
교수진
수강생 통계
입학 안내
교육 과정
사료연구 과정
고문헌연구 과정
법전연구 과정
신청 및 문의
입학 지원서
휴학 신청
각종 증명서 신청
학기별 수강 신청
1:1 문의
링크
조선시대 사료와 법전 교육기관
은대학당
『승정원일기』 『경국대전』 등을 연구하고 번역해 온 전문가들이
온라인으로 강의를 진행합니다
교수진
당보(塘報)
2023-11-06
사료와 법전에 보이는 당보는 대략 세 가지의 의미로 사용되었다. 첫째, 군사 정보나 비밀 정보 또는 그러한 정보를 적은 문서를 가리킨다. ...
자세히 보기
신전(信箭)
2023-11-06
살촉에는 ‘영(令)’자를 새기고 깃 아래에는 ‘신(信)’이라고 쓴 삼각형의 오색 비단 조각을 단 화살로, 임금의 명령으로 군병을 차출하거나 계엄을 해제할 때, ...
자세히 보기
무경칠서(武經七書)
2023-11-06
일곱 가지의 병서로, 손무(孫武)의 『손자(孫子)』, 오기(吳起)의 『오자(吳子)』, 사마양저(司馬穰苴)의 『사마법(司馬法)』, 울요(尉繚)의 『울요자(尉繚子)』, 황석공(黃石公)의 『황석공삼략(黃石公三略)』, 여망(呂望)의 『육도(六韜)』, 이정(李靖)의 『이위공문대(李衛公問對)』를 가리킨다. 송나라 원풍(元豐 ...
자세히 보기
시책(試冊)
2023-11-06
무시(武試)의 시관(試官)이 해당 시소(試所)에서 응시한 모든 응시자의 시험 성적을 적을 수 있도록 만든 책자이다. 시책에는 무시 응시자의 번호와 성명이 적혀 ...
자세히 보기
시기(試記)
2023-11-06
무시(武試) 시소(試所)의 도청(都廳)이 해당 시소에서 응시한 각 응시자의 시험 성적을 과목별로 기록한 문서이다.시기에는 응시자의 성명과 번호, 응시 순서, 과목별 성적 ...
자세히 보기
Previous
1
…
12
13
14
15
16
…
34
Next
검색
검색
최근 게시글
2025년 68회 전국역사학대회 도서전 참가
2026학년도 은대학당 신입생 모집
신임 학당장 취임에 대한 공지
이강욱 학당장님 사임에 부쳐
임시 교무위원회 개최
분류
공지사항
(68)
자료실
(94)
강의자료
(2)
논문
(14)
어휘
(76)
원문
(1)
은대학당 운영규정
(1)
행사
(13)
Search for: